태그 : 인민전선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 "1939년 국제정치의 대반전은?" (2)2018.08.02
- [35년]코민테른의 인민전선과 중국공산당 그리고 장개석(0)2018.07.30
- "사회적 파시즘이란 무엇인가?"(4)2012.11.25
- "소련의 대외정책,1928-1939"(3)2012.02.17
- 프랑스의 1936년과 1940년...(0)2011.08.22
- [만평] 침공 1938년 1월 18일(0)2011.08.22
- "부르주아적 좌파도 프랑스를 구할 수 있다!" ^ ^(2)2011.02.18
- 프랑스 휴가-5주일간,평균 309만원을 쓰는 제도의 간략한 역사!(1)2009.07.04
- [자료] 1930년대 대공황기의 미국 급진주의(0)2009.05.08
1
- Le monde
- 2018/08/02 19:54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독일의 리벤트로프와 소련의 스탈린,몰로토프>세계가 큰 전쟁을 앞둔 상황에서, 1939년에 드디어 소련이 주장하던 파시즘에 반대하는 인민전선을 위한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소련과 영국,미국,프랑스가 손을 잡는 대동맹의 결성이 될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는 것이다.우선, 39년 3월에 히틀러가 프라하를 포...
- Le monde
- 2018/07/30 07:43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유럽에서는 독일이,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평화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제7차 코민테른 대회가 1935년 7월에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다. 대회에서 스탈린은 소련과 국제 공산주의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서양 자본주의 민주국가들이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의 파시스트 체제라고 규정했다. 독일,이탈리아,일본이라는 파시즘 체제와의 정...
- 유럽외교사
- 2012/11/25 11:31
"레닌과 스탈린 시대의 러시아와 서양"[전간기][소련]사회적 파시즘이란 무엇인가?Social fascism영문 위키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사회적 파시즘은 1930년대 초반 코민테른이 주장하는 이론이었고, 사민주의 social democracy 를 파시즘의 변종으로 간주했고, 공산주의로의 최종 이행의 장애물로 간주했다. 동시에 스탈린과 코민테른 지도자들은...
- 유럽외교사
- 2012/02/17 14:29
키신저, "스탈린은 당대의 리슐리외였다!"일반적으로, 대외정책은 국내정책의 연장이며, 그 주요 사명은 국가의 안보를 보장하는 것이다. 소련의 대외정책은 자본주의 국가들의 그것과는 달랐다. 2개의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 국가 소련의 안보를 증진시키는 것과 세계 사회주의 혁명을 고무시키는 것! 이를 위한 국제 조직,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혹은 코민테른이 있...
- 유럽외교사
- 2011/08/22 16:50
1940년 프랑스 패배 이후, 프랑스의 드락스 주교는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우리에게 저주할 해는 우리의 외부적 패배인 1940년이 아니라, 우리의 내부적 패배인 1936년이다."[1936년은 프랑스좌파인 인민전선이 승리한 해이다.]1941년 5월 28일, 경제학자인 샤를 리스트는 자신의 일기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오브욍 부인이 내게 다음과 같이 ...
- 유럽외교사
- 2011/08/22 13:07
침공프랑스 우익신문 <그랭그와르>1938년 1월 18일당시 프랑스에서, 레옹 블룸은 우익언론의 격렬한 비난대상이 되었다. 이 <침공>이라는 제목의 만평에서, 레옹 블룸은 공산주의,사회주의 "쥐"의 프랑스 침공을 유인하는 피리연주자로 묘사되고 있다.
- La culture francaise
- 2011/02/18 10:12
[프랑스][프랑스 정치][레옹 블룸][도미니크 스트로스 칸]“레옹 블룸이 프랑스의 이미지 였을까? »프랑스 파리 - <르몽드> 보도...2011년 2월 17일마티아스 파키 - 마르망드 시장, 아키텐주 주의회 부의장, 사회당원최근 프랑스 정치에서,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에 대한 공격과 비난이 급증하고 있다. 그에 대한, <...
- Encyclopedie
- 2009/07/04 12:02
Congés payés 유급 휴가유급휴가는 급료가 지급되는 기간을 가리키며, 이 기간동안 고용주는 법률이 강제하는 바에 따라 피고용인에게 급료를 지불해야 한다.이것은 1936년 6월 20일 프랑스에서 시작되었고, 벨기에에서는 같은 해 7월 8일에 시작되었고, 유급휴가는 중요한 사회적 혁신이다. 이 같은 사회적 법제화는 프랑스에서는 좌파 인민전...
- Encyclopedie
- 2009/05/08 10:23
1930년대 대공황기의 미국 급진주의 동시대인들은 1930년대를 가리켜 종종 붉은 10년이라 불렀다. 그 이유는 이 시기에 급진적인 정책들이 미국 역사상 큰 인기를 얻으며 힘을 발휘했기 때문이다. 급진적인 정서들이 여러 형태로 나타났지만, 그 중에서도 미국 공산당의 성장이 가장 가시적인 것이었다. 1940년대 중반 공식적인 ...
1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