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의 장서와 정치의 수준? Le monde

가끔 들리는 동네 도서관이 있다. 마을문고 수준으로 가지고 있는 장서가 많지 않다.
장소도 협소해서, 소장 장서 보유에 나름의 정책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정치 관련 선반을 보고, 장서 확보 정책의 한계를 알 수 있었다.
아마도 희망도서를 제공한다는 정책의 결과일 것 같다.

그 결과, 이 도서관의 정치 장서는 이렇게 되었다.

물론 구급 ,시급 도서관에 소장을 정당화할 수 있지만,

작은 도서관에 이런 책들이 한가득한 것은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심지어 만약 내가 이 책들 중 일부 저자라면, 나라도 출판 이후에 절대로 읽지 않을 책들일 것 같다. 

도서관 장서가 정치적 팬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에 대한 나름의 제한이 필요하다. 

덧글

  • 2022/01/15 01:54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22/01/15 03:05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잠본이 2022/01/17 12:22 # 답글

    결국 투자와 관심이 들어가지 않으면 폐지처리장만도 못하게 되는 거죠.
    다른 예: 이상한 신흥종교 광고물+한물간 처세술 책만 가득한 마을문고 orz
  • 파리13구 2022/01/17 12:55 #

    사서 조직이 나름의 가이드 라인을 마련해야 합니다.
  • 천하귀남 2022/01/18 10:49 # 답글

    도서관 서비스 인구별 도서관 시설 기준은 있습니다.
    헌데 이걸 지키지 않아도 예산이 나오는 구조라 문제이고
    그나마 작은 도서관은 이걸 안 지켜도 됩니다. 이거 악용해 서울의 구청장이 동네마다 작은 도서관으로 생색내기 바쁘더군요.
    서울의 경우도 법정동 기준 10만을 넘는 상황이 흔해 최소개관 3만권 이상은 갖춘 도서관이어야 하는데 실상 5000권짜리 도서관 사칭 문고만 수북합니다.

    이러다 보니 구청예산으로는 도서관 짓는걸로 예산이 바닥나 도서 구입비가 정말 형편없습니다. 그러니 특정도서를 기증 등으로 밀어넣는 방식에 매우 취약합니다.

    헌데 광역시 아닌 지자체는 도서관을 시청이 주관해 국유지등 형질 변경으로 지어 땅값없이 건축비만 몰빵해 2~300억대 좋은 도서관 많이 지어 비교됩니다. 이러니 10년 전에 경기도 도서관이 서울 도서관에 수량과 장서 모두 2배 이상으로 역전했고 지금도 진행중입니다.

    일본의 경우 도서관 최저 기준 못 지키면 허가가 안 나더군요.
    대충 장서 5만권 사서 3명 면적 800제곱 이상입니다.
  • 파리13구 2022/01/18 10:53 #

    감사합니다.

    도서관은 "좋은" 책이 많아야 하는 공간임이 분명한데도,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 blublak 2022/01/18 21:35 # 답글

    한국인들의 저급한 정치 관념을 알 수 있는 책들이네요
    특정 정치인에 대해 광신적으로 신봉만 하고 진짜 사회 혁신은 생각 안하는 유사 민주주의
  • 파리13구 2022/01/18 21:42 #

    정치 서적이 정치를 반영합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