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0년 12월
중일전쟁 발발 이후의 중소관계에 균열이 생기고, 이를 틈타서 모택동의 중국공산당이 국민당에 대한 내전을 도발할 수 있는 상황에서 스탈린은 다음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1940년 12월
스탈린과 추이코프의 대화,
추이코프는 무관 근무를 위해 충칭으로 떠날 예정이었다. Chuikov
스탈린, 중국공산당에 대한 인식,
스탈린, 중국공산당의 사회적 기초는 농민이며, 이러한 비프롤레타리아트 기초가 필연적으로 심각한 이데올로기적 결점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런 결점들 중 하나는 민족주의이며, 국제주의 감각 개발에 장애가 될 것이다. 스탈린은 또한 공산당의 급진 정책에 대해서 우려했다. 중국의 “붉은 군대”는 위기를 고려하지 않고 내전을 도발할 의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이코프의 임무는 공산당과 국민당 군대의 갈등을 중재하는 것이었다. 장개석 진지에 대한 공산당의 공격은 장개석을 일본으로 향하게 만들 것이다. 일단 장개석이 권력을 잃을 것처럼 보이면, 그는 왕징웨이를 흉내낼 수 있었다. 장개석은 공산당과 싸우기 위해서 “손쉽게” 일본과 함께할 수 있다고 스탈린이 강조했다. 문제는 오직 장개석만이 항일 전쟁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이었다. 공산당과 중국 프롤레타리아는 중국의 항일 투쟁을 이끌기에는 너무 약하며, 중국 인민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심지어 제국주의 열강이 공산당이 국민당을 타도하는 것을 방관할 것 같지 않다. 소련은 장개석 정부와 조약을 맺었고, 외교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소련은 그런 중국에 혁명을 수출할 수 없다는 것이 스탈린의 입장이었다. 이런 시각에서, 소련은 공산당을 원조할 수 없고, 기존의 중소 조약에 따라서 모든 소련의 원조는 국민당 정부에게 독점 제공된다는 것이 스탈린의 결론이었다. 스탈린은 또한 추이코프에게 중국공산당 내부에서 일본에게 국민당이 패하는 것이 중국혁명에 이익이라고 주장하는 자들이 있음을 경고했다.
Garver, Chinese-Soviet Relations, 138.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