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39년 9월의 제2차 세계대전 발발과 관련해서 전쟁 책임이 히틀러에게 있고, 그가 진정으로 나쁜 놈이라는 것은 진리에 다름아니다.
중국에서 장개석은 상식적인 판단을 했고, 전쟁 발발 직전의 독소불가침 조약에 대해서 절망했다. 장개석의 중국에 대한 최대 후원 세력인 소련이 중국의 적인 일본의 동맹국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체결한 것이다. 독소불가침 조약이 중국에게 치명적이었던 이유는, 첫째, 일본이 나치 독일과 이미 동맹이었기 때문에, 조약이 일본을 소련의 간접 동맹으로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왜냐하면 동맹국의 동맹은 상대방에게도 동맹이기 때문이었다. 둘째, 독소불가침 조약을 모택동과 중국공산당이 세계의 부르주아지에 대한 공산주의의 세계적 투쟁으로 찬양했기 때문이었다. 독소불가침 조약에 따른 소련의 동폴란드 점령을 마오는 폴란드인의 해방으로 간주했고, 이것은 사회주의적 평화를 위한 것으로 치하되었다.
모택동은 히틀러-스탈린 협정은 소련 평화외교의 빛나는 승리이며, 소련-독일 전쟁을 부추기던 영국과 프랑스의 노력을 좌절시키고, 소련의 포위하려던 일본의 노력도 무력화시켰다. 1) 독소불가침 조약을 통해서 소련이 전쟁 부담의 공을 영국과 프랑스에게 넘겼다는 것이다.
모택동은 전쟁 발발 책임에 대해서 반독일 보다는 반영국,반프랑스 정서를 중시하고 해석했다. 전쟁의 도덕적 책임이 영국과 프랑스에 있다는 것이다. 영국과 프랑스는 스페인,중국,체코슬로바키아에서 소련과 협력하기를 거부했다. 앞의 국제위기에서 소련은 독일 견제를 위해서 영국과 프랑스에 집단안보에 입각한 공동 행동을 제안했지만, 무시 혹은 거절을 당했다.
9월 28일의 연설에서 모택동, “전 세계의 많은 인민들이 체임벌린의 달콤한 말에 현혹되어, 이 인간의 웃음 뒤에 도사린 위험을 알지 못한다. 사람들은 영국의 체임벌린과 프랑스의 달라디에가 소련을 거부했을 때 그들은 제국주의 전쟁을 하기로 결정한 것임을 알지 못한다. 그런 이유로 독소불가침 조약이 체결되었다... 오늘날 모든 사람들은 소련을 거부하는 것이 평화를 거부하는 것임을 안다.” 2)
1) Garver, Chinese-Soviet Relations, 1937-1945, 125.
2) Garver, Chinese-Soviet Relations, 1937-1945, 125.
모택동의 시각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은 히틀러의 독일과의 전쟁이라는 부담을 영불과 소련이 각자 상대에게 떠넘기려는 갈등이었다. 영불이 뮌헨협정을 통해서 독일의 전쟁 방향을 소련 쪽으로 돌리자, 스탈린의 소련은 독소불가침 조약으로 전쟁의 방향을 서유럽 쪽으로 돌린 것이었다는 해석이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