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1937년-1939년 7월) - 소련,미국,영국,프랑스 정책이 독일,일본에 맞선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가졌다. 1936년 11월에 베를린과 도쿄가 방공협정을 체결하면서 반-소련 협력에 나서자, 모스크바는 서양 민주주의 세력에게 파시스트 세력에 맞선 집단안보를 제안했다. 런던,파리,워싱턴은 모스크바의 집단안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2단계 (1939년 8월 독소불가침조약- 1941년 5월) 1939년 8월의 독소불가침 조약과 소련과 일본의 화해가 진행되었다.
소련과 주축국 동맹의 접근이 가속화되었다.
3단계 (1941년 6월 독소전쟁- 1945년 3월) 1941년 6월 독소전쟁 발발로 3단계가 시작되었다. 영국과 미국의 지원이 소련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대동맹은 세계적이지 않았고, 특히 극동까지 확대되지 않았다. 소련은 일본과의 1941년 중립조약을 고수했다.
4단계 (1945년 4월- 1945년 7월) 1945년 4월에 모스크바가 일본과의 중립조약을 파기했다.
5간계(1945년 8월) 1945년 8월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하면서 대동맹의 세계화가 완성되었다.
-Garver, Chinese-Soviet Relations, 1937-1945, 7.
같은 기간 소련 동맹정책의 표류 속에서, 중국의 장개석과 모택동은 어떻게 국제정치 변화에 대처했는가?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