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치민의 베트민이 8월 혁명을 시작한 것은 1945년 8월이었고, 9월에 베트남 독립을 선언했지만, 소련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50년 1월 18일 모택동의 중국이 북베트남을 승인할 때까지도 소련은 묵묵부답이었다. 결국 1월 30일에 가서야 소련이 북베트남을 승인했다.
호치민은 곧 소련을 방문하게 되었고, 그가 모스크바에 도착한 것은 2월 10일이었다.
유럽 문제에 관심이 있었던 스탈린은 베트남 문제에 무관심했고, 특히 호치민의 사상에 대해 의심했다. 그가 미국과 너무 친하다는 것이고, 그가 동남아의 티토가 될 수도 있다는 의심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당시에 모스크바에 있던 모택동의 강요로, 결국 스탈린이 호치민을 만나게 되었다.
두 사람은 만남과 동시에 신경전을 벌였다. 호치민이 방에 들어오자 스탈린이 이렇게 말했다. "동무는 두 의자 중 하나에 앉을 수 있다. 하나는 민족주의자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국제주의자를 위한 의자이다."
그러자, 호치민이, "나는 그냥 서있겠다." 라 답했다. 1)
회담에서 호치민은 스탈린에게, 소련이 방금 전에 중국과 맺은 조약과 같은 정도의 조약을 체결해 달라고 요구했다. 스탈린 대답은 안 된다는 것이었다. 스탈린은 호치민이 모스크바를 비밀리에 방문 중이란 핑계를 제시했다.그러자, 호치민이, 비밀이 문제가 된다면, 자신은 헬기를 타고 모스크바를 한 바퀴 돌아서, 착륙한 다음에 자신의 방문을 충분히 공개할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이에 스탈린, "오! 당신네 동양인들은.. 상상력이 너무도 풍부하단 말이아!" 2)
스탈린이 호치민에게, 베트민 지원은 주로 중국의 임무라고 주장했다. “절반은 농담조로” 호치민이 스탈린에게 중국의 조약 전례에 따라 소련이 북베트남과 조약을 체결하면 어떤 지 묻자, 스탈린이 거절했다. 3)
흐루쇼프의 회고에 따르면, 스탈린-호 회담에서 스탈린이 호치민을 모욕했다. 정치국 동료들에게 스탈린은 호치민에 대한 불신을 토로했다. 스탈린은 이후에도 호의 방문을 자주 언급하며, 베트남 승인 결정은 너무 섣불렀다고 불평했다. 흐루쇼프는 스탈린이 베트남의 승리 가능성을 믿지 않았다고 결론내렸다. 4)
1) Mark Philip Bradley, Imagining Vietnam and America: The Making of Postcolonial Vietnam, 1919–1950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0),254
Nikita Khrushchev,Khrushchev Remembers:The Glasnost Tapes,ed.and trans.Jerrold Schecter(Boston:Little,Brown,1990),154-56
2) Fredrik Logevall, Embers of War: The Fall of an Empire and the Making of America's Vietnam,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Reprint edition (January 14, 2014),297
3) Qiang Zhai, China and the Vietnam Wars, 17.
4) Ilya V. Gaiduk, Confronting Vietnam, 6.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