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치민, 베트남인가, 인도차이나인가? Le monde


호치민, 베트남 공산주의자인가 인도차이나 공산주의자인가?

초기 소련 역사에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냐 일국 사회주의냐가 중요한 쟁점이었다. 

베트남 공산주의 역사에서도 호치민을 통해 확인되는 쟁점이라 할 수 있다. 즉 호치민은 베트남 공산주의자였는가, 인도차이나 공산주의자였는가? 

고샤에 따르면, 호치민은 독실한 국제주의자였다. 즉 호치민의 혁명사상에는 국제주의,즉 인도차이나라는 전망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인도차이나를 믿었다. 그들은 코민테른식 혁명은 베트남 뿐만 아니라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의 혁명을 의미한다고 믿었다. 독실한 국제주의자 호치민은 말라야와 태국의 공산당 건설에 관여했을 뿐만 아니라 1929년 라오스에서의 최초의 공산주의 조직 건설에도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 

1950년 베트남 공산주의 국제주의자들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라오스와 캄보디아 국가 건설에 동참했다. 그 결과로 1950년 옛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는 6개의 국가가 탄생했다. 3개는 프랑스가 사주한 국가였고, 나머지 3개는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한 국가들이었다. 특히 후자의 3국은 베트남의 혁명의 보호국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호치민의 전쟁은 베트남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라오스와 캄보디아까지 포함된 것으로, 전쟁으로 인해서 라오스와 캄보디아에도 파멸적 결과가 초래될 것이었다.  


참고-

Goscha, Vietnam: A New History.275.

베트남 공산주의의 혁명적 패권주의는 라오스의 파테트라오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파테트라오의 지도자 까이손 폼위한 (Kaysone Phomvihane)은 부모님이 베트남인이었다. 까이손은 하노이 대학의 법학과에 진학한 적이 있었다. 그는 북베트남의 보구엔지압의 지원 속에 파테트라오 건설을 주도했다. 

까이손 폼위한 (Kaysone Phomvihane)은 오랫동안 라오스혁명당의 총비서를 역임했다. 1955년 4월 22일 ~ 1992년 11월 21일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