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년 프랑스 공산화 전망과 식민지 베트남? Le monde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1945년 베트남 8월 혁명에도 불구하고, 왜 소련과 프랑스 공산당은 호치민의 베트남 민주공화국에 냉담했을까?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1946년에 극동의 다른 식민주의 강대국 (영국,네덜란드,미국)과 달리, 프랑스는 유일하게 공산당 집권이 가능한 나라였음을 알아야 한다. 1944년부터 프랑스 공산당은 이미 연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만약 프랑스 공산당이 선거를 통해 집권하면, 프랑스 제국 전체가 공산화되어, 프랑스 본토와 더불어 소련 진영에 가담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공산화 가능성은 존재했고, 공산당이 연정에서 축출당하는 1947년 3월까지, 소련은 프랑스의 식민주의를 공개적으로 비판하지 않았고, 베트민의 독립 열망을 공개적으로 지지하지도 않았다.  1946-1947년 소련 언론은 다른 강대국의 식민주의에 대해서는 강하게 비판했지만, 프랑스에 대해서는 경멸적 어조로 비난하지 않았다. 

1945년 9월 프랑스 공산당의 사이공 지구당은 베트민에게 , 프랑스 제국의 베트남 재점령에 저항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독립을 향한 때이른 도전은 소련의 노선과도 모순된다고 주장했다. 만약 공산주의가 프랑스에서 권력을 장악하는데 성공한다면, 베트민과 호치민은 무력으로 공산당 정부에 저항한 민족주의 탈선을 했다는 난처한 처지에 놓일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베트남 식민지 문제 보다는 프랑스 본토의 공산화가 더 중요하다는 이유로, 의회의 프랑스 공산당 지도자들 (당대표 모리스 토레즈는 당시 부총리였다)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예산을 거부하지 않았고, 전쟁의 1차 단계의 각종 비상 조치들에 반대하지 않았다. 

Fall, Bernard B. The Two Viet-Nams: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New York: Praeger. 1967. 195-196.

키워드

베트남, 반식민주의, 8월혁명, 소련, 베트남정책,호치민, 베트남 민주공화국, 프랑스 공산당, 공산화, 베트민,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