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린든 존슨과 아이젠하워
베트남이란 수렁에 빠질 것인가, 빠지지 않을 것인가를 두고,
아이젠하워와 린든 존슨은 다른 선택을 했다. 우리는 이 선택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1954년의 아이젠하워와 1965년 린든 존슨의 차이는?
아이젠하워는 독자적으로 움직일 생각이 전혀 없었다. 1954년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그는 11년 후의 린든 존슨과 뚜렷하게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아이젠하워는 진지하게 의회에 자문을 구했지만, 존슨은 말로만 자문을 구하고 실제로는 의회를 조종했다. 아이젠하워의 참모총장은 철저하게 현실적으로 접근해 그 전쟁이 치르게 될 대가를 상세히 예측했고, 11년 후에는 거의 모두가 이 개입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성급한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1954년 미국은 진지하게 모든 동맹국의 조언을 구했지만, 1965년에는 스스로를 매우 강력하다고 느끼며 더 이상 동맹국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동맹국이 필요할 때는 미국의 명분에 도덕적 정당성을 구할 때뿐이었다. 아이젠하워는 지상전에 예상 되는 비용을 물었는데,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존슨과 맥나마라는 언론과 의회뿐만 아니라 예산 전문가들이 군대 투입과 관련해 산정한 정확한 예측을 애써 감추었다. 공중 폭격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정치적 동맹을 맺은 이들은 지상전을 별개로 분리할 수 있다는 환상을 품었는데, 이 환상은 1954년에 리지웨이와 아이젠하워에 의해 깨졌고, 1965년에 허용되었다. 아이젠하워와 리지웨이 덕분에 누구도 원치 않던 전쟁을 피할 수 있었다.
데이비드 핼버스탬,최고의 인재들, 글항아리, 2014. 250.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