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54년,리지웨이는 수렁 앞에서 미군을 어떻게 구했나?
디엔비엔푸에 개입할 것인가, 말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1954년 4월 디엔비엔푸 위기를 맞아, 베트민에 포위된 프랑스군 구출 방안이 미국 아이젠하워 정부 내에서 뜨거운 관심사로 부상했다.
미국의 군사개입 주장을 주도한 것은 아서 래드포드 Arthur W. Radford 합참의장이었다. 래드포드는 협상론자들을 패배주의자로 규정했다. 합참의장은 서양이 군사 개입이냐 아니면 인도차이나와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전체를 잃느냐를 두고 선택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그에 따르면, 통킹은 절대로 포기할 수 없는 핵심지역이었다. 그는 프랑스가 육군을 증원하고, 미군이 공중과 해상에서 지원하면, 통킹을 6개월에서 9개월 정도 사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미군 사절단이 베트남 군대를 훈련시켜서 통킹 방어에 동원해야 한다고 그가 주장했다. 1)
당시 아무도 원하지 않는 전쟁에 미국이 다시 말려드는 것을 막아낸 것은 육군 참모총장 매슈 리지웨이였다.
1954년, 지원 압박이 거세지면서 리지웨이는 공중 폭격이 결국 지상전으로 이어질 것을 알았다. 그는 불안했다. 래드퍼드가 개입하고 싶어하는 것을 알았고, 덜레스가 뉴룩 정책을 시험하고 싶어하는 것을 알았다. 리지웨이는 뉴룩 정책을 어리석고 위험한 것으로 여겼다. 전쟁은 지상전으로 이어지게 마련이고, 그것은 사람, 즉 미국 보병과 해병의 희생을 가져왔다. 자신의 병사를 지키는 것 또한 그의 임무였다. 그는 지상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군 조사단을 인도차이나에 파견했다. 그가 알고 싶었던 것은 기본적인 요구 조건과 병참 환경이었다. 그는 통신병과 의무병, 기술자, 병참 전 문가를 파견해 운송 환경과 철도 시설, 도로 상황, 기후, 전염병의 발생 여부, 필요한 병력 등을 조사하게 했다.
그는 조사 결과에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적을 소탕하는 데 최소 5개 사단에서 최대 10개 사단이 필요했던 것이다.(한국의 6개 사단과는 반대였다.) 게다가 기술자는 58개 대대, 병사는 50만 명에서 100만 명이 필요했고, 건설비용도 막대하게 들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 나라에는 항구 시설이나 철도, 고속도로, 전화선도 없었다. 어마어마한 비용을 들여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한국전쟁보다 훨씬 더 많은 인원이 동원되어야 할 상황이었다. 한 달에 10만 명을 징집해야 할지도 몰랐다. 한국전쟁만큼 수월하지도 않을 터였다. 한국전쟁에서 남한 사람들은 후방 부대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렇게 전쟁이 정치색을 띨 때는 일반인이 베트민을 도울 수도 있었다.(리지웨이는 1965년 사람들이 지나쳐버린 중요한 차이점을 정확히 짚어냈다.) 그것은 한국전쟁의 재탕이라기보다 대규모에 돈도 많이 들었던 필리핀 반란을 더 닮아 있었다. 길고 지루한 게릴라전, 백인에게 저항하는 원주민의 투쟁, 1899년부터 1913년까지 지속된 정치적 난장판과 다를 바가 없었다. 리지웨이의 미국 육군은 공중 폭격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안일한 생각을 허용하지 않았다. 2)
1) Fredrik Logevall, Embers of War: The Fall of an Empire and the Making of America's Vietnam,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Reprint edition (January 14, 2014), 726-727.
2) 데이비드 핼버스탬,최고의 인재들, 글항아리, 2014. 247-248.
5월 7일 디엔비엔푸가 함락되고, 결국 아이젠하워는 리지웨이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렇다면, 1965년 린든 존슨의 미 육군은 54년의 리지웨이의 입장을 포기한 것인가? 포기했다면 그 입장변화의 배경은 무엇인가?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