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과 베트남 전쟁? Le monde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호치민과 김일성


1965년 3월 2일 미군 해병이 다낭에 상륙하면서, 베트남전이 미국화되었다.

베트남전의 확전에 대해서 먼저 중국이 반응했다. 3월 25일 중국 인민일보 사설은 다음을 주장했다. 중국은 영웅적인 베트남 인민들에게 무기 공급과 모든 형태의 군수 물자를 포함한 어떠한 필요한 지원이라도 제공할 것이다. 만약 필요하다면 중국은 군대를 보내서, 베트남 인민과 더불어 미제 침략자들을 격퇴하기 위해 함께 싸울 것이다. 1) 

3월 25일 북한 노동신문 1면 제목은 "조선 인민은 베트남 동지들에게 무기를 포함한 어떠한 지원이라도 제공할 것이며, 만약 요청이 있다면 의용군을 보낼 것이다."였다. 이는 북한의 정부 성명이었다. 이는 북한 김일성으로 처음으로 외국에 대한 군사원조 의사를 명시적으로 공개한 것이며, 이후 노동신문이 베트남전 의용군 모집 공고를 한 달 동안 내보냈다. 

이는 북한의 국제주의를 과시한 것으로, 김일성의 국내, 외교 정책을 위해서 중요했다. 우선 김일성은 베트남전과 미국의 침략 위협을 북한의 대중 동원을 위해서 이용했다. 베트남전 의용군 모집 사업은 한국전쟁 당시의 중국을 흉내낸 것이었다. 모택동이 한국전쟁을 자신의 영구혁명의 전략을 위해 이용했다면, 김일성은 베트남전을 유사하게 이용했다. 

김일성은 세계혁명에 대한 자신의 헌신을 호치민에게 군사 원조를 제공하면서 과시하려 했다. 그는 비밀리에 북한 공군을 베트남에 보내는데 동의했고, 이는 베트남 전투기로 위장될 예정이었다. 

1)Chen Jian, CHINA AND THE VIETNAM WARS, 168.

참고- 

Benjamin R. Young,The Origins of North Korea-Vietnam Solidarity, The Vietnam War and the DPRK,THE NORTH KOREA INTERNATIONAL DOCUMENTATION PROJECT,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2019. 3-4.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