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은 중국-베트남 관계의 변곡점이었나? Le monde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1968년은 전세계를 뒤흔든 68혁명의 해였을 뿐만 아니라, 국제정치도 요동치게 만들었다. 

특히 68년 8월의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유럽에만 국한된 사건이 아닌, 전세계적 파장을 일으켰다. 

소련의 체코 침공에 대해서, 모택동은 국내의 전쟁 준비를 시작했다. 그는 당과 인민에게, “깊은 굴을 파고, 식량을 비축하고, 전쟁을 준비하라”고 명했다. 결과, 그는 세계 혁명 선동에 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중국의 안보를 위해서 마오는 미국과의 고위급 비밀접촉을 승인했다. 그는 소련에 저항하기 위해서 미국과 손을 잡기로 결심했다. 1) 

마오는 소련의 중국 공격이 임박했다고 두려워했다. 중월관계에서 1968년은 전환점이었다. 중소관계가 결정적으로 악화될 동안, 워싱턴은 남베트남에서의 철수 시도를 처음으로 했다. 새로운 상황 속에서 베이징의 전략적 이해는 하노이와 완전히 달라지기 시작했다. 중국은 미국을 소련에 대한 잠재적인 균형추로 간주하게 된 반면, 베트남의 동지들은 워싱턴을 가장 위험한 적으로 간주했다. 2) 


1) Yang Kuisong (2002), 39.

2) Qiang Zhai, China and the Vietnam Wars, 1950–1975, 7.

- 1968년 부터 중국은 베트남 주둔 중국군의 철수를 시작했다. 

이후 악화된 중월관계는 1979년 중국-베트남 국경전쟁으로 정점에 이르게 될 것이다. 

소련 수정주의와의 중국의 비타협적 투쟁이 중국을 불구대천지 원수 미국과 손을 잡게 만들었다. 중국의 주적은 미국이 아니라 소련이 되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