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일반적으로 이시와라 간지는 일본 육군 통제파로 분류된다. 이시와라는 나가타 데쓰잔과 친했고, 그를 존경했고, 나가타도 이시와라를 중용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시와라는 같이 통제파로 분류되는 도조 히데키와는 철천지 원수였다. 두 사람의 갈등은 1937년 이시와라가 관동군 부참모장으로 좌천당하면서 정점에 도달했다. 문제는 육사 교관 시절부터 관계가 험악했던 도조 히데키가 관동군 참모장이었다는 점이었다. 도조의 군인 철학은 군기 확립이었고, 특히 이시와라 간지 같은 하극상의 표본을 "면도날"? 도조가 관용할 리가 없었다. 이시와라와 도조의 충돌은 심각했고, 이사와라의 다음 보직은 38년 12월 마이츠루 항구 요새 사령관 이었다.
보다 흥미로운 것은 이시와라와 나가타 데쓰잔의 암살범 일본 육군 중령 아이자와 사부로(相沢三郎)의 관계였다.
두 사람의 친밀한 관계는 1933년부터 확인된다. 1933년 8월 이시와라는 센다이의 제4 보병여단 여단장이었다. 1) 여단장 시절에 이시와라 간지를 자주 방문한 것은 황도파 장교들이었다. 그들 중에 장래에 나가타 데쓰잔의 암살자가 될 아이자와 사부로 Aizawa Saburo 가 있었다. 2) 이사와라와 황도파 장교들과의 친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아이자와가 1935년 8월 11일, 통제파의 대부 나가타 데스짠을 잔인하게 칼로 척살한 후에도, 두 사람의 관계는 유지되었다. 재판에 임하면서, 아이자와는 자신을 변호할 증인으로 이시와라 간지를 원했다. 당시 그는 참모본부 작전국장이었다. 이시와라는 아이자와를 육사 시절부터 알았고, 수감 중인 아이자와를 면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시와라는 사건에 개입하기를 주저했다. 3)
황도파인, 통제파 대부 암살범이 통제파? 이시와라 간지에게 변론을 요구한 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1) PEATTIE, MARK ROBERT. ISHIWARA KANJI (1889-1949) AND THE JAPANESE ARMY, A Dissertation,Princeton University,1972, 197.
2) PEATTIE, MARK ROBERT. ISHIWARA KANJI (1889-1949) AND THE JAPANESE ARMY, A Dissertation,Princeton University,1972, 238-239.
3) Shillony, Ben-Ami. Revolt in Japan :the young officers and the February 26, 1936 incid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 1973, 112.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