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독에 한번도 가보지 않은 서독인의 비율은?"



지난 2013년 4월 21일의 영국 가디언의 한 기사에 따르면,
독일이 통일되고, 베를린 장벽이 제거된지 20년 이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주에서 바라본 베를린은 여전히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으로 분단상태임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캐나다 우주 비행사 크리스 해드필드가 우주에서 촬영한 베를린 야경을 보면,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의 불빛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베를린에서 흰색이 더 주도적이라면 ,동베를린을 지배하는 것은 노란색이다.
독일 통일에도 불구하고, 동서 베를린의 야경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베를린 시당국의 해명은 다음과 같다. ; "베를린은 지난 40년동안 여전히 두 부분으로 분단된 상태이다. 우리는 장벽 붕괴 이후 20년 동안 차이의 극복을 위해 노력했지만, 베를린의 두 부분을 통일시키기 위한 재원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동베를린의 야경에서 노란색이 지배적인 이유에 대해서, 동베를린의 가로등은 나트륨등 <Sodium lamp> 이 여전히 지배적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나트륨 등>
반면에, 서베를린은 형광등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 불빛은 흰색 계열이다. 서독 정부는 전통적으로 유지비용,수명,탄소 배출 등을 이유로 형광등을 선호했다. 뿐만 아니라 서독의 가로등 선택에서 보다 친환경적인 형광등이 선호된 것은 70-80년대의 환경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서독이 가로등의 선택에서 환경을 중시할 동안, 동독은 환경오염국가 였고, 석탄에 주로 의존했다. 동베를린의 가로등은 나트륨등 <Sodium lamp> 이 지배적인 것은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독일 통일과 베를린 장벽 붕괴에도 불과하고,
가로등을 둘러싼 서독과 동독의 정책 차이가, 여전히 오늘날의 베를린의 야경에서 확인된다는 것이다.
우주에서 야경을 보면,서베를린에서 흰색이 지배적이라면, 동베를린에서 지배적인 것은 노란색이라는 것이다.
덧글
한국 같으면 10년이면 다 바꿀 거라고 장담하구요. ^^
LED등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수 있고 전력소모가 적어 기존 등기구를 크게 손대지 않고 수명이 매우 길고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비싼것이 흠인데 가격 내려가는 속도가 워낙 무서울정도라 머지않아 큰 문제는 않될겁니다.
핵개발하는데 쓰는 자원으로 인민들 살려야하는데...
물론 교체가 완료된 후의 유지비용은 더 싸게 먹히겠지만 그 단기간 확 올라가는 예산 짜는 게 정말 정말 쉽지 않아요. 재정부처에 그 교체비용을 설득하는 것도 어렵고... 어느 나라 재정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정부 예산 관련된 일 해 보면 단박에 이해가 되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