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가 상상한 21세기 교육은?" 교육이란 무엇인가?


세계일보의 19세기 사람들이 꿈꾼 '100년 후 세계는' (2015년 10월 5일) 기사를 보니,

19세기 프랑스 작가들이 그린 2000년 지구의 풍속화들을 소개했다.

이 그림들은 1900년 파리 세계박람회장에 ‘100년 후 세계는’이라는 주제로 전시된 작품들이다.

관련 주소 => http://publicdomainreview.org/collections/france-in-the-year-2000-1899-1910


위 그림은 2000년 교실 풍경을 상상한 것이다. 

교사가 단상에서 교과서를 기계에 넣고 있는데 이 기계 전선은 머리에 주입식 장치를 단 학생들과 연결돼 있다.


-주입식 교육이 지배하는 미래의 교육을 암울하게 전망한 프랑스 만평가의 이 그림이 단순한 상상의 산물만은 아닌 것 같다.

가령, 이혜정의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라는 책에 따르면, 

서울대 사회대생 권씨의 다음 발언이 소개되어 있다.


"저는 저학년 때는 대학 시험에 대해 약간 잘못된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창의적인 답을 해야지 싶어서 제 의견을 독창적으로 썼다가 학점이 망가졌거든요.

그게 아니라, 고등학교 때처럼 암기를 주로 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덧글

  • LVP 2015/10/05 13:53 # 답글

    그래도 뒤통수에 USB꽂는 시대는 아직까지(?) 안와서 다행입니다 'ㅅ'
  • 파리13구 2015/10/05 13:55 #

    ^^
  • 포스21 2015/10/05 15:59 #

    그것도 그리 멀지 만은 않은거 같아 우울합니다. --
  • FrontierJ 2015/10/05 16:52 #

    뒤통수에 USB 꽃으면 그래도 암기할 필요는 없겠네요
  • 바탕소리 2015/10/05 17:06 #

    USB 가지고 되겠습니까. 반도체 칩을 집어넣어야죠. ㅋㅋㅋ
    (터, 터미네이터!?)
  • 레이오트 2015/10/05 13:56 # 답글

    그때나 지금이나 도구가 달라서 그렇지 학교 교육의 기본 포멧은 똑같다고 볼 수 있지요.
  • 파리13구 2015/10/05 14:01 #

    그렇습니다..ㅠㅠ
  • 레이오트 2015/10/05 14:31 #

    어떤 경우에는 예나 지금이나 이럴거면 차라리 저런 식으로 직접 주입했으면 하기도 합니다. 특히 지금처럼 많은 지식을 빠르게 습득해야 하는 시대에는 정말 그렇더라고요.
  • 까마귀옹 2015/10/05 14:09 # 답글

    '19세기 학교에서 20세기 교육을 받는 21세기의 학생들'이란 표현도 있지요.
  • 파리13구 2015/10/05 14:11 #

    적절한 표현입니다. ^^
  • 바탕소리 2015/10/05 15:16 # 답글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55769
    http://bgmlibrary.egloos.com/4204954
    이런 상황을 보면 그저 할 말이 없어지죠.
  • 파리13구 2015/10/05 15:29 #

    암울합니다! ㅠㅠ
  • 낙서 2015/10/05 16:00 # 답글

    창의적인건 논문 쓸데 필요합니다 고갱님~ 시험은 출제자가 원하는 키워드 만 언급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왜냐하면 채점하기 귀찮거든요 ㅋㅋ
  • 레이오트 2015/10/05 16:04 # 답글

    아직 바코드도 안찍었다는.
  • 무지개빛 미카 2015/10/05 16:55 # 답글

    부정하고 싶지 않군요. 한국이란 나라에서는 공부만이 청소년 시절의 전부라고 가르친다던데....
  • Megane 2015/10/05 19:02 # 답글

    목덜미에 잭을 꽂는 시대가 아직 아니지만...뭔가 무섭네요...
  • 레이오트 2015/10/05 19:54 #

    그런데 이미 배우고 있는 것도 구식이 되는 이 시대에는 차라리 그랬으면 하곤 합니다.
  • 아랫배 2015/10/07 18:00 # 답글

    삽화에서 처럼 주입을 하더라도 다양한 관점의 책들을 모두 주입한다면 교사 하나와 학생 몇명이서 토론하는 것 보다 훨씬 더 다양한 내용들을 습득하게 되겠죠.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