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봉쇄에서 스탈린이 배짱을 보인 이유는?" Le monde

메테르니히,100년의 유럽 평화를 설계하다!


[냉전]
[스탈린]
[베를린 봉쇄]

위키백과에 따르면, 베를린 봉쇄(Berlin Blockade)는 1948년과 1949년 사이에 소련이 미국, 영국, 프랑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장악했던 서베를린의 관할권을 포기하도록 하기 위해 취한 봉쇄를 말한다. 

베를린 봉쇄에서 스탈린이 보여준 대단한 배짱에 대해서, 1989년 키신저가 24년동안 소련 외상을 역임한 안드레이 그로미코 Andrei Gromyko 를 만나서 당시 상황에 대해 질문했다고 한다. 

그로미코에게 키신저는 다음을 질문했다. 제2차세계대전에서 소련이 치른 막대한 희생과 파괴를 고려할때, 소련이 베를린 봉쇄에서 만약 미국의 군사적 대응이 있었다면, 어떻게 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했을까란 질문이었다. 

그로미코에 따르면, 스탈린은 당시 부하들로부터 유사한 질문을 받았을때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고 한다 : 스탈린은 미국이 국지적 분쟁에 핵무기를 사용할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다. 만약 서양 동맹국이 베를린으로의 통로 확보를 위해서 재래식 지상군을 사용한다면, 소련군은 스탈린의 결정 없이도 자동적으로 반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하지만 만약 미군이 전체 전선에서 동원령을 내린다면, 스탈린은 그 때에는 "내게 문의하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스탈린은 국지전을 위해서는 충분히 강하다고 느꼈지만, 이것이 미국과의 전면전으로 비화될 것이라 믿지 않았다는 것이다.


How Stalin analyzed “objective” factors is illustrated by a conver-sation in 1989 I had with Andrei Gromyko, Soviet Foreign Minister for twenty-eight years until he was kicked upstairs by the newly in-stalled Mikhail Gorbachev into the largely ceremonial office of Presi-dent. He therefore had much time for discussions about what he had observed of Russian history and no future to protect by discretion. 

I raised a question of how, in light of the vast casualties and devastation it had suffered in the war, the Soviet Union could have dealt with an American military response to the Berlin blockade. Gromyko replied that Stalin had answered similar questions from subordinates to this effect: he doubted the United States would use nuclear weapons on so local an issue. If the Western allies undertook a conventional ground force probe along the access routes to Berlin, Soviet forces were or ordered to resist without referring the decision to Stalin. If American forces were mobilizing along the entire front, Stalin said, “Come to me.” In other words, Stalin felt strong enough for a local war but would not risk general war with the United States. 


출처-

Henry Kissinger, World Order, 281-282. 

핑백

  • “베를린봉쇄에서 스탈린이 배짱을 보인 이유는?” | SSS.WIKI 2015-07-27 13:13:54 #

    ... 제2차세계대전에서 소련이 치른 막대한 희생과 파괴를 고려할때, 소련이 베를린 봉쇄에서 만약 미국의 군사적 대응이 있었다면, 어떻게 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했을까란 질문이 Source link This entry was posted in BLOG on 2015-07-27 by SSS. Post navigation ← 牛魔王 (曖昧さ回避) Take ... more

덧글

  • 레이오트 2015/07/27 12:14 # 답글

    하기사 저 시기만 해도 상호확증파괴이론이 제대로 정립되기 이전이니 스탈린이 저런 배짱을 부린거죠.
  • rumic71 2015/07/27 22:05 # 답글

    소 : 설마 미국이 안 끼겠지 했다가 6/25 에서 폭망.
    미 : 설마 중공이 안 끼겠지 했다가 6/25 에서 폭망.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