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의 너무 부족한 대학 교양수업…'인성교육' 가능할까 (2015년 6월 1일)에 따르면,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율이 미국이나 일본 주요 대학에 비해 부족하다고 한다.
기사는 고려대 교육문제연구소가 작성한 '우리나라 4년제 대학 교양교육 현황 분석 연구'란 보고서를 소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교양교육과정의 비중은 18.69%였다. 미국의 하버드,예일은 교양교육에 최대 35-42%를 편성하고, 일본대학도 1/3 이상을 배정한다고 한다.
보고서는 "교양교육이 전공교육의 아류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라 진단했다.
- 중고등학교에서는 입시교육, 대학에서는 취업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양교육을 위한 입지는 점점더 줄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약화가 한국의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교양에 대한 관심이 쇠퇴하는 가운데, 지적대화를 위한 열망은 높아가는 것은 어떤 모순인가?
취업을 위한 자기 전공 내용은 잘 알지만, 전공이 아닌 다른 교양지식은 거의 알지 못하는 시민이 다수를 이루는 사회에서
교양에 대한 갈증은, <<지적 대화를 위한...>>같은 책을 읽는 것으로 해갈을 이룰 수 있는 것인가?
태그 : 교양교육
덧글
현재 세계 학계가 환원주의적 사고를 넘어 통합주의적 사고로 이행하는 상황을 언급할 것도 없이 민주주의는 지혜를 갖춘 건전한 시민에 의해 유지된다는 것과 이런 시민을 육성하는게 대학의 주요 역할 중 하나라는 점에서 현재 한국 대학은 F학점도 아깝습니다.
자신들의 부귀영화에만 눈이 멀어 나라가 어떻게 되든, 사회가 어떻게 되든 전혀 신경안쓴 극도의 이기주의자들입니다. 탐욕스럽고 욕심만 잔뜩 든 추물들... 이젠 국민들도 이기적으로 변할 때가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