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장벽은 붕괴되었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Le monde

"푸틴,소련의 부활을 꿈꾸나?" ^^


[우크라이나]
[러시아][푸틴]
[베를린 장벽]



키예프가 對-러시아 보호장벽을 건설할까?

키예프의 장벽 건설 계획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요새화된 국경이 때로 중요하기도 했다.

독일 디 벨트 보도 DIE WELT
2014년 11월 10일

우크라이나는 적어도 이론상으로, 러시아와의 국경 방어를 위해서 장벽을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는 우선 1500km에 달하는 참호를 파는 것으로 시작, 2300km 길이의 요새를 구축하려는 계획이다.

역설적인 것은, 유럽이 베를린 장벽 붕괴 25주년을 기념하고 있을때, 키예프가 새로운 장벽 건설을 고심한다는 것이다. 

다음 질문이 제기된다 : 이것은 군사적인 관점에서 순진한 것이 아닌가? 장벽으로 러시아군을 막을 수 있을까? 그리고 세계화로 인해서 기존 국경이 허물어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장벽건설은 시대착오적인 것이 아닌가? 

역사를 되돌아 보자면, 인류는 항상 장벽을 세웠다. 중국에는 유목민의 침략을 막기위한 만리장성이 있었고, 로마도 장벽을 세웠다. 오늘날에도, 이스라엘과 레바논 국경에 그리고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 거대한 장벽이 존재하고, 후자는 중미 출신의 이민자 유입을 막기위한 것이다.

유럽연합은 스페인과 모로코간의 세우타-멜리야 Ceuta et Melilla 국경에도 유사한 상황이 존재함을 인정한다. 이는 북아프리카 출신 이민자 유입을 막기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그리스-터키 국경의 감시가 강화되고 있고, 이는 아시아,아프리카 출신 이민자를 막기 위해서다. 

이같은 새로운 장벽 건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이는 철의 장막의 부활인가? 하지만 철의 장막은 현지인의 탈출을 막기위한 것이었고, 외국인의 입국을 막기위한 것이 아니었다. 

우크라이나의 장벽 건설 계획은 불안한 지역의 안정을 위해서다. 

오늘날의 세상에서 오히려 순진한 것은 요새화된 국경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한편, 키예프의 장벽 건설 계획에 대해서,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대통령 행정실장이 '로시스카야 가제타'와의 인터뷰에서, 장벽 설치는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 불가능을 초래할 것이라 경고했다고 한다. 



위와 같은 장벽을 건설할 계획이라 한다.


2014년 3월 현재, 우크라이나-러시아 국경에는 다음 같은 참호가 있을 뿐이다!



덧글

  • 리리안 2014/11/11 15:42 # 답글

    설령 지은다 한들 러시아군을 막을 수 있을까요?
  • 파리13구 2014/11/11 16:16 #

    막을 수 없다는데 한표입니다. ㅠㅠ
  • 레이오트 2014/11/11 15:45 # 답글

    화기의 발달은 높은 성벽을 두터운 보루와 벙커로 바꾸었지요. 지금의 장벽은 차단의 역할도 유효하지만 경보시스템으로써의 역할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장벽이 생기면 필연적으로 그걸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들어가고, 그러다보면 의도치않은 감시기능이 붙게되니까요.
  • .... 2014/11/11 18:52 # 삭제 답글

    대한민국 육군이 상당부분 공을 들여서 구축해놓은 휴전선 라인도 노크귀순과 같은 사태에 종종 직면하는데, 하물며 2300km의 국경선이라면.....

    사실상 저 장벽이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긴합니다.
  • 듀란달 2014/11/11 18:55 # 답글

    마지노선 생각나네요. 그냥 그거 할 돈이면 조기경보 시스템이나 갖추는게 낫지 싶은데.
  • 나인테일 2014/11/11 21:17 # 답글

    마지노선을 만들 셈인가....
  • 메이즈 2014/11/11 21:35 # 답글

    진짜 마지노선 만들 게 아니면 의미는 없을 겁니다. 구축해 봐야 러시아가 맘먹으면 돌파하는 것은 시간 문제이니까요. 물론 제대로 된 요새를 구축할 돈이 우크라이나 정부에 있었다면 지금 이러고 있지도 않았겠지만.
  • 조선반도의 현대인 2014/11/12 12:07 # 답글

    2300km면 cctv로 도배하야겟네요. 초병을 세워서
    관리하는건 힘들테고말이죠
  • Megane 2014/11/12 13:41 # 답글

    뭔가 약간 1차대전스러운 병맛이...(에?)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