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투스 리비우스의 한마디...
[로마사]
[제2차 포에니전쟁]
[한니발 전쟁]
[유화정책][체임벌린][히틀러]
로버트 카플란의 승자학을 읽다보니, 제2차 포에니 전쟁 직전 로마의 대 한니발 정책을 제2차세계대전의 체임벌린의 유화정책과 비교한 대목이 있어서 이를 소개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즉 당시 로마는 고대의 히틀러인 한니발에 대해 유화를 하다가 제2차 포에니 전쟁이라는 엄청난 참화에 직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한니발은 가짜 영웅적 지도자였다. 그는 자신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절망적인 기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끊임없이 전쟁을 일으켰다. 히틀러와 마찬가지로, 한니발은 이전 전쟁의 결과로 부과된 부당한 평화협정에 격분했다.
한니발은 제1차 포에니 전쟁으로 말미암아 사기가 떨어진 적을 공격하는 이점을 활용했다. 미국 의회와 마찬가지로- 미국은 히틀러가 베르사유 조약을 무시하고 라인란트로 진주하고, 더 나아가 폴란드를 공격했을 때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로마의 원로원은 제1차 포에니 전쟁의 종전조약을 위반하고 스페인 등 로마 영토를 장악한 한니발의 위협에 직면해서 어떻게 대처할지 몰라서 큰 혼란을 겪었다.
예일대학의 도널드 케이건은 제2차 포에니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을 비교하면서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 "로마인은 처음에는 현실을 외면했고, 그 다음에는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취했다 "
유화정책은 원로원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루스벨트적인 귀족들은 카르타고가 야기하는 위협에 대해 경고했지만, 폐쇄적인 지방 주민들이 이를 행동에 옮기지 않았다.
한니발이 스페인 동부지역을 떠나 알프스를 넘어 국경을 침범한 뒤 로마를 압박했을때, 인기에 영합하던 폐쇄적인 호민관 헤레니우스는 원로원에서 전쟁을 원하는 사람들은 오직 귀족 뿐이라고 연설했다. 하지만 그때쯤 원로원은 이제 로마가 행동을 취할 때이고, 남은 길은 오직 전면전 밖에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 로버트 카플란, 승자학, 62-63쪽
덧글
1차 대전때 수십만이 죽어쓴데 그때의 기억이 남아 있는 상태면 그런 전쟁이 벌어지는 걸 막기 위해 사력을 다했을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의 양국간의 합의를 깨고 카르타고의 한니발이
로마에 대한 위협을 제기한 것을, 당시 로마가 적절하게 대응하는데 실패한 것은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히틀러의 거듭된 위반에 대해서 영국이
적절하게 대응하는데 실패한 체임벌린 유화정책의 교훈과 역사적으로 비교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비교는 비교일 뿐입니다.
아주 좋게 해석해도 위 주장은 근거가 보충될 필요가 있습니다.
로버트 카플란과 도널드 케이건의 관점을 단순히 참고만하시기 바랍니다.
도널드 케이건도 비슷한 주장을 한다고 하기에 소개한 것입니다.
카플란은 지식이 부족하다고 할수 있지만, 케이건은 그 분야 대가인지라...ㅠㅠ
양해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