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알카에다가 암세포라면...." Le monde

프랑스, 말리 내전에 무력 개입 선언

만약 알카에다와 암세포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본다면 어떨까?

양자는 파괴적 본능을 가지고 있고, 치료가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안심할 수 없다.


끊임없이 분열과 성장과정을 거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재발과 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아프간 암 수술 후, 항암치료까지 마쳤다고 하는 순간, 암이 말리로 전이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이로 인해 말리암 치료를 위한 수술을 해서 성공했다고 하는 순간, 암은 예멘으로 전이되어 있고, 그동안 아프간 암이 재발되어 절제술이 필요한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이렇게 알카에다 암세포의 파괴적인 재발,전이 특성을 고려한다면, 말리 개입으로 테러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있다는 환상을 버려야 한다.


암세포는 말리에 대한 특별한 애착이 없고, 수술 이전부터 전이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양의 개입 이전에 치고 빠질 준비가 되어 있고, 서양의 개입, 즉 수술로 인해 해당 장기가 치명적으로 손상되기를 기대하고 있고,  이는 재발을 위한 포석이다.


이같은 암세포의 파괴적 본능으로부터 우리의 몸, 세계를 지켜내어 건강을 되찾을 수 있는 수술, 항암제, 방사선치료 등의 알카에다 암 치료법은 무엇일까?


무력 개입, 즉 수술만으로 우리는 알카에다라는 암을 정복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아들 부시의 테러와의 전쟁 모델은 지나치게 수술 모델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알카에다 암세포의 재발,전이적인 특성을 무시한 낡은 모델이 아닐까?


덧글

  • 사바욘의_단_울휀스 2013/02/05 15:37 # 답글

    현재 암 메카니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는 사실 정상 세포이며
    특정한 신호만 받으면 바로 원래 상태로 돌아갈수 있다고 하죠.

    테러리즘을 암세포라고 말하는것은
    아직 그들을 잘 모른다고 말하는것과 같습니다.
  • 파리13구 2013/02/05 15:40 #

    알겠습니다. ^^
  • 나인테일 2013/02/05 16:13 # 답글

    이슬람 문화권에 물질적 풍요와 합리적 지식의 확산만이 알카에다를 근본적으로 근절할 수 있는 방법이겠지요. 등따습고 배부르고 "알라 후 아크바르!" 외치며 폭탄 던지지 않아도 잘 살수 있으면 알카에다 같은게 있을 필요가 없죠.
  • 파리13구 2013/02/05 16:16 #

    그렇습니다.
  • 까마귀옹 2013/02/05 16:18 # 답글

    암세포 보다는 바이러스란 표현이 더 낫지 않을까요?
  • 파리13구 2013/02/05 16:21 #

    어떤 식으로 보셔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 K I T V S 2013/02/05 16:37 # 답글

    문제는 이슬람권이 세속적으로 더욱 변모해야 알카에다를 막을 수 있다는 건데.. 이를 이용해서 알카에다를 능가하는 살라피스트들은 "이 모든 게 수백년전 제국주의로 쳐들어온 서양탓"이라고 주장하며 밀어붙이니 산업화=서양의 것을 들어오는 것은 이슬람적인 것이 아니라며 반대하고 있으니 문제라는 겁니다...
  • 파리13구 2013/02/05 16:40 #

    알카에다는 서양의 개입을 원하고, 이를 통해 지역 분쟁이 반-서양적으로 급진화되는 것을 원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