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배달부입니다. 랜덤블로그 룰렛을 돌리던 중 불시착했습니다. 한국과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비교해 올바른 사회는 무엇인지 고민한다는 발상이 신선하고 재미있네요. 저는 인공지능과 소셜 엔지니어의 적극 개입으로 올바른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관심 있는 번역가입니다. 좋은 글 많이 구경하고 가겠습니다.
조선일보에 "평화는 강자의 특권이다" 는 칼럼에 처칠에 대한 칭찬이 가득하기에 처칠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진분이 있나 하고 검색하다가 뮌헨협정에 관한 글을 보았습니다 만약에 그 시대에 처칠이 없었다면 하고 가정해 보면 오늘날 이시는 조금은 변했으리라 생각 됩니다 아울러 현 북한을 우리가 처칠이 되어서 멸망 시켜야 되는지 아니면 체엄블린? 같이 안고가야 되는지 현 시대를 나이가 60이 다 되었는데도 가늠 할수가 없읍니다 선생님은 어떻게 보시는지 앞으로 좋는 만남 기대 합니다
파리13구님, 안녕하세요? 프랑스 보수주의, 보수 정치세력에 대해 관심이 많은 대학생입니다. 프랑스 보수주의에 대한 논문이나 책들을 찾아봤지만, 1930년대 프랑스 우파세력인 악시옹 프랑세즈가 파시즘인가, 보수주의인가를 다룬 논문과 1960년대 드골주의의 대외정책에 대해 기술한 논문 외에는 프랑스 보수세력에 대해 다룬 책이나 논문이 보이질 않더군요. ㅠㅠ 저는 프랑스대혁명 때 왕당파랑 입헌군주제인 지롱드파만 알고, 또 전후 프랑스의 드 골 정도만 아는 수준입니다. 또 알아보려 해도 주로 영미식 보수주의나 영국 보수당, 미국 공화당에 대한 연구, 심지어 독일 보수주의나 기독교민주연합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데 프랑스 보수주의는 드골주의의 대내정책이 정확히 무엇인지 공부해보려 해도, 또 그 드골주의가 어떻게 시라크로 이어지는지, 무슨 기준이 있는 건지 등을 도통 모르겠습니다. 제가 크게 여섯 가지 질문을 드릴까 하는데 답변 부탁드려도 될까요?
1) 프랑스 보수세력이 오를레앙파, 부르봉파, 보나파르티즘, 공화파 우파, 드골주의, 비드골주의 우파가 있다 하던데 이 분파들의 정확한 내용이 뭔지 궁금합니다.
2) 부르봉파가 왕당파 내지는 왕정복고파고 오를레앙파가 프랑스대혁명 시기 지롱드파인가요?
3) 프랑스 보수세력의 역사를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게 맞다면 프랑스대혁명 이후 지롱드파랑 왕당파가 보수세력이고 나폴레옹 시대 이후 보나파르티즘이 생기고 또 왕정복고파인 부르봉파나 입헌군주제 오를레앙파가 생기고 나중에 2월 혁명 이후 공화정이 수립되는데 그게 공화파 우파 정부?고 자본가와 손 잡아서 자본주의 육성해왔는데 1930년대에 프랑스 보수세력 중 다른 분파가 악시옹 프랑세즈 만들고 한 건가요? 이때 또 무슨 공화파 우파가 집권하고 있다가 악시옹 프랑세즈랑 연합했다던데 공화파 우파는 전통적으로 어떤 세력인 거에요? 정리가 안 됩니다. ㅠㅠ
4) 드골주의가 대외적으로는 미국으로부터 자주 노선의 민족주의, 자주국방, 유럽연합 입장이고 대내적으로는 국가 주도형 자본주의 계획경제, 정치적 경제적 국가개입주의(이게 프랑스의 에타티즘 맞나요? ㅠㅠ) 경제, 사회복지제도 입안 및 강화 맞나요? 드골주의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만약 맞다면 이 노선이 프랑스 진보세력인 사회당, 공산당과 차이가 있는 노선인가요?
5) 시라크가 드골주의를 계승했다던데 그럼 드 골 사후에는 드골주의가 단절되었던 건가요? 시라크는 경제적으로 자유방임주의로 아는데 내용이 많이 다른 것 아닌가요? 드 골 사후 사르코지까지 현대 프랑스 보수세력이 궁금합니다.
덧글
링크 신청합니다~~~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
항상 유익한 포스팅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이글루는 처음이라 링크 걸어도 되는건지 모르겠지만, 파리13구님의 글들을 조금 더 자주 접하고 싶어 이렇게 신청했습니다.
늘 좋은 글들 감사합니다! ^^
그리고 기회가 되면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방문하게 될 것 같습니다.
저도 더욱 학문적 정신적 성장(?)을 해서 함께 댓글토론을 해보고 싶네요.
PS. 이글의 작성일자는 2013년 12월 24일... 미래에서 온 글인가요? ^^;;
어제 즐거웠습니다~^^
가끔 뵙지요~
저도 즐거웠습니다.
다음 관련 모임에서도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
종종 구경하러 오겠습니다.
저는 지금 한국에 있습니다. ^^
제가 알고있는 사이트가 없습니다.
요즘은 세계질서라는 책을 읽고 계신가봐요? :D
아직 접해 보지 못한 책인데 파리13구님이 발췌하시는 내용 보다가
읽고 싶으면 저도 사서 읽어 봐야겠어요~
종종 들어와서 글 읽고 갈게요~
좋은 하루보내세요 :-)
소득세 법인세 재산세 상속세 소비세 부가가치세가 없고
강제징용 노예제(징병제)가 없고
성기절단훼손(할례 포경수술)이 금지되어 있는 사회임.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창에서
"파리13구"를 입력하면
제 블로그가 나옵니다.
자주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
혹시 내년에 대선이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현재 프랑스 대선 여론 조사 결과 좀 알 수 있나요? 검색 능력이 부족해서 최근 자료는 못찾겠네요 ㅎㅎ;
특히 마린 르펜의 지지율을 알고 싶습니다.
1차투표 예상 지지율로 올랑드(15%), 마린 르펜(31%), 니콜라 사르코지(20%)를 얻을 것이라 합니다. 이 경우, 올랑드는 결선에 진출 못합니다.
결선투표에서 사르코지가 55%의 지지로, 45%의 마린 르펜을 이긴다고 합니다.
그리고 만약 결선에서 올랑드와 마린 르펜이 대결할 경우, 마린 르펜이 올랑드는 53 대 47로 이길 것이라 합니다.
13구에서 산 적이 있습니다. 포르트 디탈리 근처에서요.
반갑습니다. ^^
근데 혹시 파리13구님의 이글루에서 검색을 허용하지 않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검색 기능이 없는게 아쉽네요. ㅠㅠ
블로그 메뉴 중 이글루 파인더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한국과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비교해 올바른 사회는 무엇인지 고민한다는 발상이
신선하고 재미있네요. 저는 인공지능과 소셜 엔지니어의 적극 개입으로
올바른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관심 있는 번역가입니다. 좋은 글 많이 구경하고 가겠습니다.
다만, 많은 사람들이 체임벌린에 대해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무조건 비판부터 하는 태도에 대해서는 유감을 느낍니다.
테일러의 제2차 세계대전의 기원이라는 책을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비스마르크를 기리며..
http://m.dcinside.com/view.php?id=europa&no=258846&page=1&serVal=비스마르크&s_type=all&ser_pos=-258359
프랑스 보수주의, 보수 정치세력에 대해 관심이 많은 대학생입니다. 프랑스 보수주의에 대한 논문이나 책들을 찾아봤지만, 1930년대 프랑스 우파세력인 악시옹 프랑세즈가 파시즘인가, 보수주의인가를 다룬 논문과 1960년대 드골주의의 대외정책에 대해 기술한 논문 외에는 프랑스 보수세력에 대해 다룬 책이나 논문이 보이질 않더군요. ㅠㅠ 저는 프랑스대혁명 때 왕당파랑 입헌군주제인 지롱드파만 알고, 또 전후 프랑스의 드 골 정도만 아는 수준입니다. 또 알아보려 해도 주로 영미식 보수주의나 영국 보수당, 미국 공화당에 대한 연구, 심지어 독일 보수주의나 기독교민주연합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은데 프랑스 보수주의는 드골주의의 대내정책이 정확히 무엇인지 공부해보려 해도, 또 그 드골주의가 어떻게 시라크로 이어지는지, 무슨 기준이 있는 건지 등을 도통 모르겠습니다. 제가 크게 여섯 가지 질문을 드릴까 하는데 답변 부탁드려도 될까요?
1) 프랑스 보수세력이 오를레앙파, 부르봉파, 보나파르티즘, 공화파 우파, 드골주의, 비드골주의 우파가 있다 하던데 이 분파들의 정확한 내용이 뭔지 궁금합니다.
2) 부르봉파가 왕당파 내지는 왕정복고파고 오를레앙파가 프랑스대혁명 시기 지롱드파인가요?
3) 프랑스 보수세력의 역사를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게 맞다면 프랑스대혁명 이후 지롱드파랑 왕당파가 보수세력이고 나폴레옹 시대 이후 보나파르티즘이 생기고 또 왕정복고파인 부르봉파나 입헌군주제 오를레앙파가 생기고 나중에
2월 혁명 이후 공화정이 수립되는데 그게 공화파 우파 정부?고 자본가와 손 잡아서 자본주의 육성해왔는데 1930년대에 프랑스 보수세력 중 다른 분파가 악시옹 프랑세즈 만들고 한 건가요? 이때 또 무슨 공화파 우파가 집권하고 있다가 악시옹 프랑세즈랑 연합했다던데 공화파 우파는
전통적으로 어떤 세력인 거에요? 정리가 안 됩니다. ㅠㅠ
4) 드골주의가 대외적으로는 미국으로부터 자주 노선의 민족주의, 자주국방, 유럽연합 입장이고 대내적으로는 국가 주도형 자본주의 계획경제, 정치적 경제적 국가개입주의(이게 프랑스의 에타티즘 맞나요? ㅠㅠ) 경제, 사회복지제도 입안 및 강화 맞나요? 드골주의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만약 맞다면 이 노선이 프랑스 진보세력인 사회당, 공산당과 차이가 있는 노선인가요?
5) 시라크가 드골주의를 계승했다던데 그럼 드 골 사후에는 드골주의가 단절되었던 건가요? 시라크는 경제적으로 자유방임주의로 아는데 내용이 많이 다른 것 아닌가요? 드 골 사후 사르코지까지 현대 프랑스 보수세력이 궁금합니다.
6) 혹시 프랑스 보수세력, 드골주의에 대한 책이나 논문 추천 가능할까요?
부디 지식이 얕은 학부생에게 고견 부탁드립니다. ㅠㅠ
제가 최근에 프랑스 정치사를 공부하지 않아,
님의 질문에 답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영어에 능통하시면, 위키페디아의 Political history of France, History of far-right movements in France 항목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노명식의 프랑스 혁명에서 파리 코뮌까지, 1789~1871
허만, 드골의 외교정책론,집문당,1997 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