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투자가 중국을 민주주의 국가로 만들 것이라 주장하지 마라.
그런 논쟁은 절망감과 자신의 이익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국은 저항하기에는 너무 수익성이 좋은 시장이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사업자들은 결국 침묵으로 공산당의 노선을 묵인하고 있다.
더 나쁜 것도 있다.
서양이 중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이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 티나 로젠버그
2005년 <뉴욕타임스> 보도 중에서...
- 역수렴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지적으로,
중국이 미국처럼 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중국처럼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혹은 중국에 대한 외국 투자가 중국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 정책에 기생해서, 오히려 중국 권위주의의 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런 논쟁은 절망감과 자신의 이익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국은 저항하기에는 너무 수익성이 좋은 시장이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사업자들은 결국 침묵으로 공산당의 노선을 묵인하고 있다.
더 나쁜 것도 있다.
서양이 중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이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 티나 로젠버그
2005년 <뉴욕타임스> 보도 중에서...
- 역수렴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지적으로,
중국이 미국처럼 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중국처럼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혹은 중국에 대한 외국 투자가 중국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 정책에 기생해서, 오히려 중국 권위주의의 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태그 : 중국
덧글
그 앞에, <중국식>이라는 형용사가 붙으면,
그것은 기만에 다름아닐 것으로 봅니다.
문제는, 민주주의 개혁의 주체가 중국 국민이 되어야 하지,
중국공산당이 자체로 추진하는 민주주의는 뭔가 이상한 부분이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맨 처음에 민주주의는 미국에서 준 바도 있기 때문에
여하튼 민주주의 정치체제를 도입하고+ 정착하는 건 이제 중화 저력의 평가테스트가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