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조국전쟁 大祖國戰爭, 러시아어: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война
러시아가 소련시절의 유일한 유산인 “대조국전쟁”을 기념하다.
프랑스 파리 - <르몽드> 보도
2010년 5월 8일
르몽드지 모스크바 특파원
La Russie célèbre la "Grande Guerre patriotique", unique rescapée de l'ère soviétique
| 08.05.10 | 14h03 • Mis à jour le 08.05.10 | 14h03
Soixante-cinq ans après la victoire soviétique contre l'Allemagne nazie, la Russie s'apprête à commémorer sa "Grande Guerre patriotique", dimanche 9 mai, sur fond de polémique sur l'utilisation de l'image de Joseph Staline, lors des festivités du Jour de la victoire.
나치 독일에 대한 소련의 숭리 65주년을 맞아, 러시아가 지난 5월 9일 일요일에 자신의 “대조국전쟁”을 기념했다. 이 행사를 둘러싸고 작은 논란이 있었다면, 전승일 기념식에 스탈린의 초상화를 사용해도 되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Ainsi, la Mairie de Moscou a dû changer à la hâte sa campagne d'affichage mettant en scène le dictateur soviétique entouré de ses principaux généraux. Les images ne seront finalement exposées qu'à l'intérieur de certains bâtiments, "pour éviter le vandalisme", explique officiellement la municipalité. Selon la presse russe, le Kremlin aurait fait pression pour calmer les ardeurs du maire de Moscou, Iouri Loujkov.
이런 맥락에서, 모스크바 시장은 주요 장군들에 둘러싸인 소련 독재자의 모습이 담긴 기념 포스터를 서둘러 교체해야만 했다. 결국 이 포스터들은 공개되지 못했고, 다만 몇몇 건물들 내부에서만 걸렸던 것이고, 이는 “훼손을 방지하는 위한 것”이 수도 당국의 공식 설명이었다. 하지만,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크레믈린이 모스크바 시장의 열정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한다.
Mais le Petit Père des peuples résiste. A Saint-Pétersbourg, un groupe a lancé sur Internet une campagne de financement pour louer l'emplacement publicitaire d'un bus, qui circule dans les rues "orné" du portrait de Staline ; dans les nombreux rassemblements d'anciens combattants, il n'est pas rare de croiser le portrait du dirigeant soviétique.
하지만 인민의 작은아버지[스탈린]는 순순히 물러서지 만은 않았다. 상트페레트부르크에서, 몇몇 사람들이, 도시에서 운행되는 버스에 스탈린 초상화를 게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마련을 위한 운동을 전개한 바 있다. 그리고 많은 참전용사들의 모임에서, 소련 지도자의 초상화를 목격하는 것은 드문 것도 아니다.
Au-delà de la polémique, c'est tout le pays qui est plongé depuis quelques semaines dans une effervescence patriotique entretenue par les autorités. Pour le seul défilé militaire prévu dimanche, la ville de Moscou a déjà dépensé plus de 3 millions d'euros.
논란을 넘어서, 전체 나라가 기념행사 몇주 전부터, 당국이 조장하는 애국적 열광에 빠져 들어갔다. 일요일에 열릴 군사 행진만을 위해, 모스크바시는 이미 300만 유로 이상을 지출했다.
"Souviens-toi et sois fier !", proclament les centaines d'affiches placardées dans Moscou. Un numéro vert - le 1945 - mis en place pour l'occasion permet d'écouter sur son téléphone des chants militaires ou les informations de la radio de l'époque. Chaque commerce aura pris soin d'accrocher sur sa porte une affiche de style résolument soviétique célébrant la victoire.
“기억하라 그리고 자부심을 가져라! »가 모스크바에 게재된 수많은 포스터들의 문구였다. 무료 번호 1945번을 누르면, 전화를 통해 옛 군가들 혹은 당시의 사건들 관련 정보들을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상점들은 승리를 상징하는, 완전한 소련 양식의 포스터들을 정문에 게시했던 것이다.
"Les commémorations du 9 mai sont très fortement encouragées par le pouvoir, puisqu'il s'agit du seul événement à avoir, encore aujourd'hui en Russie, une telle force symbolique", selon Boris Doubine, du centre d'analyses Levada. "La puissance de cette tradition s'explique aussi par la nostalgie de l'élite politique russe à l'égard du passé soviétique ; nostalgie de l'époque où la Russie n'était pas un simple Etat, mais bien le coeur d'un grand empire", ajoute-t-il.
“5월 9일 전승기념일이 당국이 장려하는 행사가 된 것은, 그것이 오늘날 러시아에 아직도 남아있는 강한 상징성을 가지는 유일한 행사이기 때문이다”라고 레바다 연구소의 보리스 두빈이 지적하고 있다. « 이런 전통의 힘은 또한 소련이라는 과거에 대해 러시아 엘리트들이 가지는 향수를 설명해 주는 것이다 ; 그 향수란 당시 러시아가 단지 한 개의 국가가 아니라 거대한 제국의 중심이었다는 것이다”라고 그가 말한다.
La Fête de la victoire est la dernière fête d'origine soviétique à avoir survécu dans le calendrier officiel depuis l'effondrement de l'URSS. Le soutien politique n'explique pas tout : dans un pays qui a déploré 27 millions de victimes, militaires et civiles, durant la seconde guerre mondiale, la moitié des personnes interrogées lors d'un récent sondage affirment avoir perdu un membre de leur famille lors du conflit.
전승 축제는 소련 붕괴이후 러시아의 공식 달력에 살아 남은, 소련에서 유래하는 마지막 기념축제다. 하지만 정치적 차원만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다 : 러시아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2700만의 군인 민간인 희생자를 낸 나라이고, 최근의 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이 지난 전쟁 동안 , 가족 중에서 한 명을 떠나보냈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Initiée en 1965 à l'occasion du 20e anniversaire de la victoire, la commémoration de la Grande Guerre patriotique était au coeur de l'appareil de propagande du régime soviétique. "Désormais, non seulement l'hymne national soviétique a été restauré (avec des paroles différentes), mais la symbolique de la Grande Guerre a également retrouvé sa place, à travers le cinéma, la télévision, les écoles...", explique Boris Doubine. Aujourd'hui, le manuel d'histoire de neuvième année scolaire, au lycée, évoque la seconde guerre mondiale du seul point de vue russe, sans même évoquer la Shoah, ni le conflit dans son ensemble européen ou mondial.
승전 20주년을 기념하여, 1965년에 시작된, 대조국전쟁 기념행사는 소련체제 선전 장치의 핵심에 있었다. « 아무튼, 가사는 다르지만, 소련 국가가 살아남았을 뿐만아니라, 세계대전이라는 상징도 그 위치를 굳건히 하고 있으며, 이는 영화,텔레비전,학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 보리스 두빈이 설명한다. 현재,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제2차 세계대전은 러시아의 시각만으로 교육이 되고 있으며, 홀로코스트 도, 유럽 및 다른 세계에서 발생한 전투들도 다루어 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역자주- 러시아 공식역사에서, 제2차 세계대전은 대조국전쟁일 뿐인 것이다.]
덧글
제가 그 문제에 대해서는 문외한인지라
도움을 드리기 어려울 듯 합니다.
"우리 가족에서 스탈린 때문에 죽은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그저 한숨만 나오더군요.
러시아 스킨헤드들은 히틀러도 좋아한다던데,
어떻게 스탈린 과 히틀러를 동시에 좋아 있는지
그들의 정신세계가 단지 신기할 따름입니다.
이들의 의식도 문제라면 문제겠지만 이 스탈린주의자들과 파시스트들을 동류로 보기엔 무리일듯 합니다.
라고 할까요? ㅎㅎ
실은 서방에서도 스탈린재평가의 움직임이 학계에서 시작되고 있다고도 합니다. 역사의 해석은 언제나 변하는거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