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몽드]중국의 위구르 지배가 식민주의인 이유는? Le monde

프랑스 르몽드 지 사설

우루무치에서

 

Edito du Monde

A Urumqi

LE MONDE | 08.07.09 | 13h43  

 

지금 신장위구르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요사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실을 명확히 해야 한다 : 중국이 옛 동 투르키스탄인 신장위구르를 식민지로 삼았다는 것이다. 이 지역은 오늘날 중화제국의 북서부분을 이루고 있지만, 북경은 19세기말에 가서야 이곳을 완전히 정복했을 뿐이다. 무슬림 위구르인이 사는 , 이 지역이 중국 행정력에 의해 통제되고, 그들의 통치권이 미친 것은 1949년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한 이후의 일이다.

 

Pour comprendre l'embrasement actuel dans le Xinjiang, il faut appeler les choses par leur nom : la Chine colonise le Xinjiang, l'ancien Turkestan oriental. Cette région, qui constitue aujourd'hui le nord-ouest de l'empire, n'a été définitivement conquise par Pékin qu'à la fin du XIXe siècle. Peuplée de musulmans ouïgours, elle n'a été véritablement contrôlée et

annexée par l'administration chinoise qu'après la prise du pouvoir par les communistes, en 1949.

 

Depuis, le Xinjiang est une colonie de peuplement : les Chinois de souche, les Hans, sont en passe de renverser l'équilibre démographique à leur profit. C'est acquis dans la capitale, Urumqi, une ville de plus de 2 millions d'habitants, aux deux tiers peuplée de Hans. Les affrontements interethniques, depuis le 5 juillet, y ont déjà fait au moins 156 morts. Des dizaines de milliers de militaires et de policiers en armes quadrillent Urumqi, où des centaines, sinon des milliers, d'Ouïgours ont été arrêtés. Le président chinois, Hu Jintao, a jugé la situation suffisamment dangereuse pour quitter l'Italie, où il devait assister au G8.


그 이후로, 신장은 정주형[식민지본국민이 식민지에 대거 이주하는 것] 식민지이다 : 중국 한족은 그들의 이익에따라 이곳의 인구학적 균형을 뒤흔들었다. 이렇게 해서, 신장의 수도 우루무치에, 이 인구 2백만의 도시에, 주민의 2/3가 한족이다. 지난 7 5일 이래, 두 민족들간의 충돌은 이미 최소 156명의 사상자를 양산했다. 수만명의 군대와 경찰이 무장한채 우루무치를 순찰중이고, 이 우루무치에서 수백에서 수천명의 위구르인들이 체포되었다. 중국 주석 후진타오는 상황이 충분히 위험하다고 판단, 이탈리아에서 급거 귀국했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G8회담에 참석 예정이었다.

 

Ces violences rappellent celles de mars 2008 au Tibet, quand des jeunes Tibétains s'en prirent aux commerçants hans de la capitale, Lhassa. Pékin dit ne pas comprendre. La Chine n'a-t-elle pas apporté la modernité, le progrès économique et social, à des contrées aux populations jusqu'alors figées dans l'arriération religieuse ? Ce discours ne vous rappelle rien ? C'est l'exact décalque de celui tenu au début du XXe siècle par les colonisateurs

européens au Maghreb, en Afrique, en Asie - et sans doute avec la même part de totale sincérité.


이러한 폭력들은 지난 2008 3월 티베트에서의 일들을 떠올리게 한다. 티베트 청년들이 수도 랏사의 한족이 운영하는 상점들을 공격했을 때, 북경은 이들을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들은 중국이 종교에 의해 퇴보 중이었던 이 티베트와 그 주민들에게 근대성, 경제 그리고 사회 발전을 가져다 주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런 논리는 독자들에게 아무것도 떠올리게 하는 것이 없을까 ? 그것은 20세기초 유럽의 식민주의자들이 마그레브[알제리,모로코,튀니지], 아프리카 ,아시아에서 견지한 식민지 정당화 논리의 정확한 복사판이며, 의심의 여지없이 그 발상의 순진함도 완전히 유사한 것이다.


Il y a deux versions aux événements d'Urumqi. Celle des Ouïgours : ils évoquent une manifestation pacifique, qui, sous le choc d'une répression brutale, aurait dégénéré en émeutes. Celle de Pékin : une provocation d'éléments ouïgours manipulés depuis l'étranger où s'activerait une dissidence islamiste radicale.


최근의 우루무치 사태에 대한 두가지의 서로 다른 설명들이 존재한다. 위구르쪽의 주장 : 그들은 평화 시위를 했는데, 이것이 폭력적 진압을 받아, 그 충격과 분노로, 소요사태로 발전한 것이다. 북경쪽의 주장 : 위구르족의 시위는 외국에서 조종당하고 있으며, 즉 외국 이슬람 급진주의 세력의 사주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 역자주 이란 당국이 개혁파의 시위를 보는 관점도 중국과 유사하다. 그들이 서구 제국주의의 사주를 받고 있다는 것 !]

 

On ne tranchera pas. On se bornera à observer ce que révèlent ces bouffées de révolte récurrentes au Tibet et au Xinjiang : l'exaspération de populations en voie de devenir minoritaires du fait d'une immigration de Hans qui n'ont que mépris pour les "locaux", leur langue et leur culture. Partout dans le monde, cela a un nom : la colonisation. Et c'est aussi condamnable au Tibet ou au Xinjiang que ce le fut en Afrique ou au Maghreb. Grande de tant de réussites, la Chine sait que la répression n'apaisera pas le ressentiment et la colère de ces peuples.


너무 속단하지는 말자. 우선 최근 티베트와 신장에서의 소요사태의 만개를 관찰해 보는 것으로 만족하도록 하자 : 한족의 대량이주로 인하여, 점점 소수민족이 되고 있는 , 두 국민들의 분노가 존재하고, 이 한족은 그들의 지역,언어,문화를 경멸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이러한 상황을 어떤 단어로 부를까 ? 그것은 바로 식민주의. 과거 아프리카와 알제리,모로코,튀니지에서 일어난 일이 단죄시 되었다면, 지금 티베트와 신장위구르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도 단죄시 되어야 마땅한 일이다. 매우 위대한 중국은 탄압이 티베트인들과 위구르인들의 적개심과 분노를 억누를 수 없다는 것을 알기나 할까 ? 
 


덧글

  • 뽀도르 2009/07/09 11:10 # 답글

    19세기 청나라는 서구 열강과 일본에 두들겨 맞는 이미지만 있지만, 실제로는 서부 변경의 반란을 진압하고 지배를 공고히 측면도 있지요. 어쨌거나 이민족의 나라 청나라가 지금의 한족에게 역사상 최대의 영토를 남긴 아이러니도 ...
  • 파리13구 2009/07/09 11:13 #

    강희제, 옹정제가 통치를 잘해서 였을까요? ^^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