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흥미로운 인터뷰이다.
사실, 이 기사를 읽기전까지, 아니.. 어떻게 아내가 3번이나 임신했는데
남편이 모를 수가 있을까라는 의구심이 떠나지를 않았다.
하지만, 이 의사에 따르면, 임신거부증 환자에게는,
임신사실이 외관상으로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고 한다.
나의 생각으로는, 임신거부증은 상상임신 증상과 대척점에 있는 것이다.
즉, 상상임신이란, 간절히 임신을 원하는 여성이...
임신을 했다고 완전히 머릿속으로 믿어버린 결과,
여성의 전형적인 임신과 관련한 몸의 변화, 가령 생리의 중단과
배부름이 발생하는 것이다.
만약, 상상임신이 가능하다고 한다면,
임신사실을 간절히 거부하는 임신거부증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아무튼, 베로니크 쿠르조를 괴물,악마로 간주하기 보다는,
어떻게 이런 끔찍한 일이 발생할 수 있었는지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앞으로 이런 사건의 재발을 막는데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Véronique Courjault n'est pas un monstre»
[르피가로]베로니크 쿠르조는 괴물이 아니다.
•INTERVIEW - Sophie Marinopoulos, psychanalyste au CHU de Nantes*, spécialiste des grossesses difficiles, explique le «déni» et la «dénégation de grossesse» dont pourrait avoir été victime Véronique Courjault.
[인터뷰] 소피 마리노푸로는 낭트의 정신병동의 정신과의사로, 난산 難産의 전문가이며, 베로니크 쿠르조가 그 희생양일 수 있는 임신 거부증 과 임신 부정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Le procès de Véronique Courjault met en lumière le phénomène du déni de grossesse. Comment l'expliquer ?
Le déni de grossesse est un mécanisme de défense. Pour se protéger d'une grossesse qui la fait souffrir, la femme la nie, et ne se rend donc pas compte qu'elle est enceinte. Il y a toujours quelque chose derrière, le déni est un symptôme, on doit chercher la cause dans l'histoire de la patiente. Les explications sont différentes pour chaque femme. Tous les dénis de grossesse ne débouchent pas sur un meurtre, mais si c'est le cas, c'est qu'il n'y a pas eu de levée du déni. La femme accouche seule, ce qui la met en danger. Etant déconnectée de la réalité jusqu'au bout, elle en arrive à tuer l'enfant. Mais ces mères ne peuvent pas préméditer leur geste. Ce n'est pas quelque chose de construit comme pour un meurtrier.
베로니크 쿠르조 재판은 임신 거부증이라는 현상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다.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임신거부증은 심리적 방어 기제이다. 고통을 안겨다 줄 임신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여성은 그것을 부정하고, 그녀가 임신했다고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이 증상의 배후에는 항상 무엇인가 도사리고 있으며, 거부는 하나의 증상이고, 환자의 개인사에서 그 원인을 찾아내야만 한다. 이에 대한 설명들은 개개 여성들에 따라 다르다. 모든 임신 거부증이 살인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그렇게 될 경우, 산모는 거부를 그만둘 수는 없다. 여성은 홀로 출산하게 되고, 이것이 그녀를 위험에 빠트린다. 극단에 까지 현실과 괴리된, 여성은 아이를 죽이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어머니들은 그들의 행동을 미리 계획할 수는 없다. 즉 살인 처럼 구체적인 행동이 아닌 것이다.
Comment expliquer que l'entourage ne se doute de rien ?
Le psychisme est le «commandant de bord», donc à partir du moment où la grossesse n'est pas pensée, il n'y a aucun signe de maternité. L'enfant se développe de façon longitudinale, le ventre ne grossit pas. L'entourage est alors totalement leurré. Il ne peut pas voir quelque chose que la femme elle-même ne pense pas, ne vit pas.
주변인들이 전혀 눈치채지 못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 ?
정신현상은 비행기로 치면 기장과 같다. 따라서 임신이 머릿속에서 생각되지 않는 바로 그 순간부터, 어떤 임신의 징후도 없다. 아이는 세로로 자라게 되고 [역자주- 정상 태아의 경우는 가로로 자란다], 산모의 배는 부르지 않는다. 고로, 주변인들은 절대로 눈치챌 수 없다. 산모 자신이 생각하지 않는 것은 주변인들은 절대 볼 수 없다.
• Y-a-t-il un profil de femmes victimes de déni de grossesse ?
Ce sont des femmes qui ont dans un premier temps un déni de leur propre corps, de l'expression de leurs émotions. Elles sont «carapacées», pas démonstratives. Souvent elles n'ont pas construit de vie émotionnelle et affective avec leurs parents. Cela ne veut pas dire qu'au sein de leur famille, ils ne s'aimaient pas, mais qu'ils ne prenaient pas en compte la vie émotionnelle de l'autre.
임신 거부증의 희생자 여성들에게 어떤 개인 유형이란 것이 존재하는가 ?
우선 자신의 몸을 그리고 자신의 감정 표현을 거부하게 되는 여성들이다. 그녀들은 감추려 하지,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자주, 그녀들은 부모와 감정 그리고 정서적인 유대를 형성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이는 그들의 가족내부에서, 그들이 서로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은 다른 가족들의 감정을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Selon certains enquêteurs, Véronique Courjault était probablement consciente qu'elle était enceinte…
Le déni de grossesse n'est pas la seule pathologie liée à la maternité. Si Mme Courjault savait qu'elle était enceinte, ce n'est pas un déni, mais cela peut être aussi une «dénégation de grossesse». Dans ce cas, il y a certes une prise de conscience de la grossesse, mais elle est mise de côté. On est dans l'impossibilité de se représenter qu'un jour on va accoucher. La maternité n'est pas qu'une histoire médicale, on oublie souvent que c'est aussi quelque chose qui se passe dans la tête. Aux yeux de beaucoup, la maternité est toujours liée au bonheur, elle ne peut être qu'épanouissante pour la mère. La société ne veut pas voir qu'il y a aussi des moments de détresse et que pour certains, cela peut être un bouleversement qui les entraîne vers le drame.
몇몇 조사자들에 따르면, 베로니크 쿠르조는 아마도 그녀가 임신했었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었다고 하는데...
임신 거부증은 임신과 관련한 유일한 병리증세가 아니다. 만약 쿠르조 부인이 그녀가 임신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이것은 거부증이 아니라, 아마도 임신 부정증이었을 것이다. 이 경우, 임신에 대한 자각이 분명히 있었지만, 그녀는 이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어느 날인가에, 출산할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없게 된다. 임신은 의학적 문제가 아니고, 우리는 그것이 머리속에서 벌어지는 어떤 것이라는 점을 자주 잊게 된다. 많은 사람들의 눈에는, 임신이 항상 행복과 관련있는 것이지만, 임신은 산모의 육체적 변화일 뿐이다. 우리 사회는 산모에게 또한 슬픈 순간들도 도래한다는 것을 인정하기를 원하지 않고 있고, 몇몇 산모에게는, 임신이 그들을 어떤 드라마로 이끄는 급격한 변화일 수도 있다.
• Dans ce contexte, est-ce que cela peut servir à quelque chose de punir Véronique Courjault?
Son interpellation a servi à quelque chose : cela lui a permis de réaliser ses actes, d'en prendre conscience. C'était important pour qu'elle retrouve sa dignité. Mais enfermer quelqu'un qui est dans un état de souffrance, qui a besoin avant tout de soins, cela n'a pas de sens. On n'est pas face à une criminelle en série. On est en train d'en faire un monstre alors qu'il s'agit d'une femme qui souffre. Au nom de quoi l'enfermerait-on ? Sa dangerosité ? On parle de «récidive», puisqu'elle a tué trois bébés. Mais il s'agit de «répétition», qui est un symptôme psychique, une manière de répéter sa souffrance quand elle n'est pas comprise.
* Auteur de «La vie ordinaire d'une mère meurtrière» (Ed. Fayard, 2008).
이런 맥락이라면, 임신 거부증이 베로니크 쿠르조를 처벌하는데 어떤 참고사항이 될 수 있을까 ?
그녀의 체포는 어떤 것을 초래했다 : 이는 그녀가 그녀의 행동들을 자각하고록 했고, 의식을 회복하게 했다. 그녀에게는 자신의 존엄성을 되찾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고통을 받는 있는 누군가를 감옥에 가두는 것은, 특히나 치료가 필요한 사람을 가두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이는 연쇄 범죄가 아니다. 우리는 고통을 받고 있는 한 여성을 괴물로 만들고 있는 중이다. 그녀를 가두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나 ? 그녀가 위험하다고 ? 우리는 재범에 대해 이야기 한다. 왜냐하면, 그녀가 3명의 아기들을 죽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재범이 아니라 반복일 뿐이다. 이 반복은 물리적 질환이자, 그녀의 고통이 반복되는 방법이고, 그녀는 그녀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이해를 하지 못했다.
이 의사는 <살인자 어머니들의 평범한 인생>이란 책의 저자이다.
덧글